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Ga0's

2020년 3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본문

Study IT/정보처리기사

2020년 3회 정보처리기사 실기

Ga0Kwon 2023. 4. 21. 19:44

문제1

소프트웨어 공학에서 리팩토링(Refactoring)을 하는 목적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시오.

 

∴ 소프트웨어를 보다 이해하기 쉽고 수정하기 쉽도록 만들어서 빠르게 개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.

 

소프트웨어 공학(SE; Software Engineering)

 ▪ 소프트웨어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구된 학문

 ▪ 여러가지 방법론과 도구, 관리 기법들을 통하여 소프트웨어의 품질과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.

 ▪ 소프트웨어 공학의 기본 원칙

   - 현대적인 프로그래밍 기술을 계속적으로 적용해야 한다.

   - 개발된 소프트웨어의 품질이 유지되도록 지속적으로 검증해야 한다.

   - 소프트웨어 개발 관련 사항 및 결과에 대한 명확한 기록을 유지해야 한다.

 

리팩토링(Reafactoring)

 ▪ "결과의 변경 없이 코드의 구조를 재조정"

 ▪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유지보수를 편하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.

 ▪  버그를 없애거나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행위는 아니다.

 

리팩토링의 목적

 ▪ 소프트웨어를 보다 이해하기 쉽고, 수정하기 쉽도록 만들어 빠르게 개발할 수 있게 함이다.

 ▪ 겉으로 보이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변경하지 않는다.

 

문제5

데이터베이스의 스키마(Schema)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시오.

 

∴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 조건에 관한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한 메타데이터의 집합

 

스키마

 ▪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제약 조건에 관한 전반적인 명세를 기술한 메타데이터의 집합

 ▪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데이터 개체(Entity), 속성(Attribute), 관계(Relationship) 및 데이터 조작 시 데이터 값들이 갖는 제약 조건 등에 관해 전반적으로 정의한다.

    * 개체 : 데이터로 표현하려고 하는 여러 속성들로 구성된 객체 (E-R 다이어그램에서 네모로 표현)

    * 속성 : 개체가 갖는 속성 (E-R 다이어그램에서 원으로 표현)

    * 관계: 개체와 개체 사이의 연관성 (E-R 다이어그램에서 마름모로 표현)

 ▪ 사용자의 관점에 따라 외부 스키마, 개념 스키마, 내부 스키마로 나눠진다.

 

스키마의 특징

 ▪ 데이터 사전(Data Dictionary:  데이터 항목들에 대한 정보를 지정한 중앙 저장소)에 저장된다.

 ▪ 특정 데이터 모델을 이용해 만들어진다.

 ▪ 시간에 따라 불변인 특성을 가진다.

 ▪ 데이터의 구조적 특성을 의미하며, 인스턴스에 의해 규정된다.

 

스키마 3계층

외부 스키마(External Schema) = 사용자 뷰(View)

 ▪ 개별 사용자들의 입장에서 데이터 베이스의 논리적 구조를 정의한 것

 ▪ 동일한 데이터에 대해, 서로 다른 관점을 정의할 수 있도록 허용

 ▪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는 여러 개의 외부 스키마가 존재 가능하며, 하나의 외부 스키마를 여러개 응용 프로그램이나 사용자가 공용할 수도 있다.

 

개념 스키마(Concerptual Schema) = 전체적인 뷰(View)

 ▪ 데이터베이스의 전체 조직에 대한 논리적인 구조로, 물리적인 구현은 고려하지 않는다.

 ▪ 각 데이터 베이스에는 한 개의 개념 스키마만 존재

 ▪ 개체 간의 관계 및 무결성 제약 조건에 대한 명세를 정의

   * 무결성 제약 조건 : 데이터베이스의 정확성, 일관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장, 삭제, 수정 등을 제약하기 위한 조건

 ▪ 데이터베이스 파일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형태를 나타냄

 

 내부 스키마(Internal Schema) = 저장 스키마(Storage Schema)

 ▪ 물리적 저장장치의 입장에서 본 데이터 베이스 구조이다.

 ▪ 개념 스키마를 디스크 저장장치에 물리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방법을 기술한 것이다.

 ▪ 저장될 데이터 항목의 내부 레코드 형식, 물리적 순서 등을 나타낸다.

 

문제6

다음 네트워크 관련 설명에서 괄호에 들어갈 알맞은 용어를 쓰시오.

 

심리학자 톰 마릴은 컴퓨터에 메시지를 전달하고, 메시지가 제대로 도착했는지 확인하며, 도착하지 않았을 경우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일련의 방법을 '기술적 은어'를 뜻하는 (           )이라는 용어로 정의하였다. 하... 이게 진짜 문제냐....

 

∴ 프로토콜(Protocol)

 

 ▪ 기술적 은어 = 프로토콜(Protocol)

 

문제7

다음이 설명하고 있는 관계대수 연산자의 기호를 쓰시오.

 

릴레이션 A, B가 있을 때 릴레이션 B의 조건에 맞는 것들만 릴레이션 A에서 분리하여 프로젝션하는 연산

 

∴ ÷

 

* 프로잭션(Projection)  : 주어진 릴레이션에 대해 각 튜플에서 원하는 애트리뷰트 집합으로만 이루어진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드는 것. (프로젝션  기호 : ∏)

 

관계대수

 ▪ 원하는 정보와 그 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 어떻게 유도하는가를 기술하는 절차적 언어이다.

 

순수 관계 연산자

   ▪ 관계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할 수 있도록 특별히 개발한 관계 연산자 

종류 특징 기호
Select ▪ 릴레이션에  존재 하는 튜플 중에서 선택 조건을 만족하는 튜플의 부분집합을 구하여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드는 연산
 릴레이션의 행에 해당하는 튜플(Tuple)을 구하는 것이므로 수평 연산이라고도 함
 시그마(σ)
Project  주어진 릴레이션에서 속성 리스트(Attribute List)에 제시된 속성 값만을 추출하여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드는 연산
 연산 결과에 중복이 발생하면 중복이 제거됨
  릴레이션의 열에 해당하는 속성을 추출하는 것이므로 수직연산자라고도 함

파이(π)
Join  공통 속성을 중심으로 두 개의 리레이션을 하나로 합쳐서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드는 연산
 Join의 결과는 Cartesian Product(교차곱)를 수행한 다음 Select를 수행한 것과 같음
 ⋈ 
Division  X ⊃ Y인 두개의 릴레이션 R(X)와 S(Y)가 있을때, R의 속성이 S의 속성 값을 모두 가진 튜플에서 S가 가진 속성을 제외한 속성만을 구하는 연산 ÷

일반 집합 연산자

    ▪ 수학적 집합 이론에서 사용하는 연산자 

연산자/기호 기능 및 수학적 표현 카디널리티
합집합
UNION
 두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의 합집합을 구하는 연산
 결과로 생성된 릴레이션에서 중복되는 튜플은 제거
 
R∪S={t|t∈R  t∈S}
t는 릴레이션 R 또는 S에 존재하는 튜플

|R∪S|  |R| + |S|
합집합의 카디널리티는 두 릴레이션 카디널리티의 합보다 크지 않음
교집합
INTERSECTION
 두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의 교집합을 구하는 연산
 
R∩S={t|t∈R  t∈S}
t는 릴레이션 R과 S에 동시에 존재하는 튜플
|R∩S|  Min{|R|, |S|}
교집합의 카디널리티는 두 릴레이션 중 카디널리티가 적은 릴레이션의 카디널리티보다 크지 않음
차집합
DIFFERENCE
 두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의 차집합을 구하는 연산
 
R-S={t|t∈R  tS}
t는 릴레이션 R에만 존재하고 S에는 존재하지 않는 튜플
|R-S|  |R|
차집합의 카디널리티는 릴레이션 R의 카디널리티보다 크지 않음
교차곱
CARTENSIAN
PRODUCT
X
 두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들의 결합된 정보를 구하는 연산
 
R×S={r · s|r∈R ∧ s∈S}
r · s는 R에 존재하는 튜플 r과 S에 존재하는 튜플 s를 결합한 튜플
|R×S| = |R|×|S|
카티시언 프로덕트의 카디널리티는 두 릴레이션 카디널리티를 곱한 것과 같음

 

 

문제12

소프트웨어 개발에서의 작업 중 형상 통제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시오.

 

∴ 식별된 소프트웨어 형상 항목에 대한 변경 요구를 검토하여 현재의 기준선이 잘 반영될 수 있도록 조정하는 작업

 

소프트웨어 형상관리(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)

 ▪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및 유지 보수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각 단계별 산출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소프트웨어에 가시성, 추적성을 부여하여 품질보증활동을 향상시키는 방법

 ▪ 식별 => 통제 => 감사 => 기록

 

소프트웨어 형상관리의 절차

형상식별  ▪ 형상 관리 대상 구분, 관리 목록에 대한 번호 부여
형상통제  ▪ 소프트웨어 형상 변경 제안 검토, 현재 소프트웨어 기준선에 반영하도록 통제
형상감사  ▪ 소프트웨어 베이스라인의 무결성 평가 수단
형상기록  ▪ 소프트웨어 형상 및 변경 관리에 대한 각종 수행 결과 통제

 

문제14

헝가리안 표기법(Hungarian Notation)에 간략히 서술하시오.

 

∴ 변수명 작성시 변수의 자료형을 알 수 있도록 자료형을 의미하는 문자를 포함하여 작성하는 방법

 

헝가리안 표기법(Hungarian Notation)

 ▪ 변수명 작성시 변수의 자료형을 알 수 있도록 자료형을 의미하는 문자를 포함하여 작성하는 방법

 

카멜 표기법(Camel Notation)

 ▪ 단어와 단어 사이를 점, 공백 없이 대문자로 띄어쓰기를 구별하는 방법으로 낙타의 혹처럼 볼록한 모양으로 구분한다는 것에서 유래된 표기법이다. (첫글자는 소문자)

 

문제16

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라우팅 프로토콜(Routing Protocol)을 쓰시오.

 

 ▪ RIP의 단점을 해결하여 새로운 기능을 지원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이다.

 ▪ 인터넷 망에서 이용자가 최단 경로를 선정할 수 있도록 라우팅 정보에 노드 간의 거리 정보, 링크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최단 경로로 라우팅을 지원한다.

 ▪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많이 사용된다.

 ▪ 최단 경로 탐색에 Diikstra 알고리즘을 사용한다.

 ▪ 라우팅 정보에 변화가 생길 경우 변화된 정보만 네트워크 내의 모든 라우터에 알린다.

 ▪ 링크 스테이트 라우팅 알고리즘을 사용하며, 하나의 자율 시스템(AS)에서 동작하면서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의 그룹에 도달한다.

 

OSRF(Open Shortest Path First protocol)

 

경로 제어/ 트래픽 제어(Routing)

 ▪ 송 ∙ 수신 측 간의 전송 경로 중에서 최적 패킷 교환 경로를 결정하는 기능

 ▪ 경로 제어표(Routing Table)를 참조하여 이루어지며, 라우터에 의해 수행된다.

*최적 패킷 교환 경로 : 어느 한 경로에 데이터의 양이 집중하는 것을 피하면서, 최저의 비용으로 최단 시간에 송신할 수 있는 경로를 의미

* 경로 제어표(Routing Table) : 일반적으로 라우팅 테이블이라고 하며 다음 홉 주소, 메트릭(Metric), 목적지(수신지) 주소가 저장

 

경로 제어 프로토콜(Routing Protocol)

IGP
(Interior Gateway
Protocol, 내부 
게이트웨이 프로토콜)
 ▪ 하나의 자율 시스템(AS) 내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

 ▪ RIP(Routing Information Protocol)
   -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로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이라고도 불리며, 최단 경로 탐색에 Bellman-Ford 알고리즘이 사용됨.
   - 소규모 동종의 네트워크(자율 시스템, AS) 내에서 효율적인 방법
   - 최대 홉(Hop) 수를 15로 제한하므로 15이상의 경우는 도달할 수 없는 네트워크를 의미하는데 이것은 대규모 네트워크에서는 RIP을 사용할 수 없음을 의미
   - 라우팅 정보를 30초마다 네트워크 내의 모든 라우터에 알리며, 180초 이내에 새로운 라우팅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경로를 이상 상태로 간주

 ▪ OSRF(Open Shortest Path First protocol)
   - RIP의 단점을 해결하여 새로운 기능을 지원하는 인터넷 프로토콜로,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많이 사용됨  
   - 인터넷 망에서 이용자가 최단 경로를 선정할 수 있도록 라우팅 정보에 노드 간의 거리 정보, 링크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최단 경로로 라우팅을 지원함
   - 최단 경로 탐색에 다익스트라(Dijkstra) 알고리즘을 사용함
   - 라우팅 정보에 변화가 생길 경우 변화된 정보만 네트워크 내의 모든 라우터에 알림
   - 하나의 자율 시스템(AS)에서 동작하면서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의 그룹에 도달

EGP
(Exterior Gateway
Protocol, 외부 
게이트웨이 프로토콜)
 ▪ 자율 시스템(AS)간의 라우팅, 즉 게이트웨이 간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
BGP
(Border Gateway
Protocol)
 ▪ 자율 시스템(AS)간의 라우팅 프로토콜로, EGP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졌음
 ▪ 초기에 BGP 라우터들이 연결될 때에는 전체 경로 제어표(라우팅 테이블)를 교환하고, 이후에는 변화된 정보만을 교환함.

* 자율시스템(AS; Autonomous System)

  - 하나의 도메인에 속하는 라우터들의 집합

  - 하나의 자율 시스템에 속한다 = 하나의 도메인에 속한다.

 

*Bellman-Ford 알고리즘

  -  두 노드 간의 최단 경로를 구하는 알고리즘으로 A, B, C 노드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A와 C 사이에 있는 최단 경로를 구한다면, A와 C사이에 있는 B노드까지의 거리를 먼저 구한 후 가중치를 더하여 실제 거리를 구하는 방식

  - 다익스트라 알고리즘(Diikstra Algorithm)과 달리 가중치가 음성인 경우도 처리할 수 있다.

 

*홉(HOP)

  - 데이터가 목적지 가지 전달되는 과정에서 거치는 네트워크의 수

 

문제17

다음은 EAI(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)의 구축 유형에 대한 설명이다. 괄호(①,②)안에 각각 들어갈 알맞은 유형을 쓰시오.

 

① Point to Point

② Hub & Spoke

 

 ▪ EAI(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)는 기업 내 각종 애플리케이션 및 플랫폼 간의 정보 전달, 연계, 통합 등 상호 연동이 가능하게 해주는 솔루션이다. 비즈니스 간 통합 및 연계성을 증대시켜 효율성 및 각 시스템 간의 확정성(Determinacy)을 높여준다.  EAI의 구축 유형은 다음과 같다.

 

2020 3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문제17

 

모듈 연계

 ▪  내부 모듈과 외부 모듈 또는 내부 모듈간 데이터의 교환을 위해 관계를 설정\

 ▪ 대표적인 모듈 연계 방법

   - EAI(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)

   - ESB(Enterprise Service Bus)

   - 웹 서비스(Web Service)

 

EAI(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)

 ▪ 기업 내 각종 어플리케이션 및 플랫폼 간의 정보 전달, 연계 통합 등 상호 연동이 가능하게 해주는 솔루션

 

Point to Point

 ▪ 가장 기본적인 애플리케이션 통합 방식

 ▪ 애플리케이션을 1:1로 연결함

 ▪ 변경 및 재사용이 어려움

 

Hub & Spoke

 ▪ 단일 접점인 허브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앙 집중형 방식

 ▪ 확장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함

 ▪ 허브 장애 발생 시 시스템 전제에 영향을 미침

 

Message Bus(ESB 방식)

 ▪ 애플리케이션 사이에 미들웨어를 두어 처리하는 방식

 ▪ 확장성이 뛰어나며 대용량 처리가 가능함

* 미들웨어(Middle Ware) : 미들(Middle)과 소프트웨어(software)의 합성어로 운영체제와 응용 프로그램 또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상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.

 

Hybrid

 ▪ Hub & Spoke와 Message Bus의 혼합 방식

 ▪ 그룹 내에서는 Hub & Spoke 방식을, 그룹 간에는 Message Bus 방식을 사용함

 ▪ 필요한 경우 한 가지 방식으로 EAI 구현이 가능함

 ▪ 데이터 병목 현상을 최소할 수있음

 

ESB(Enterprise Service Bus)

 ▪ 애플리케이션 간 연계, 데이터 변환, 웹 서비스 지원등 표준 기반의 인터페이스를  제공하는 솔루션

 ▪ 애플리케이션 통합 측면에서 EAI와 유사하지만 애플리케이션 보다는 서비스 중심의 통합을 지향

 ▪ 특정 서비스에 국한 되지 않고 범용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애플리케이션과의 결합도를 약하게 유지한다.

 ▪ 관리 및 보안 유지가 쉽다.

 ▪ 높은 수준의 품질 지원이 가능하다.

2020 3회 정보처리기사 실기 문제17관련 ESB[출처 : https://it.ucla.edu/news/what-esb]

웹 서비스(Web Service)

 ▪ 네트워크의 정보를 표준화된 서비스 형태로 만들어 공유하는 기술

 ▪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(SOA)개념을 실현하는 대표적인 방법

 ▪ 웹 서비스의 구성

SOAP  ▪ HTTP, HTTPS, SMTP 등을 활용하여 XML 기반의 메시지를 네트워크 상에서 교환하는 프로토콜
UDDI  ▪ WSDL을 등록하여 서비스와 서비스 제공자를 검색하고 접근하는데 사용됨
WSDL  ▪ 웹 서비스와 관련된 서식이나 프로토콜 등을 표준적인 방법으로 기술하고 게시하기 위한 언어
 ▪ XML로 작성되며, UDDI의 기초가 됨.

*서비스 지향 아키텍처(SOA;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)

   - 기업의 소프트웨어 인프라인 정보시스템을 공유와 재사용이 가능한 서비스 단위나 컴포넌트 중심으로 구축하는 정보기술 아키텍처

 

* UDDI(Universal Description Discovery and Integration)

   - 인터넷에서 전 세계의 비즈니스 업체 목록에 자신의 목록을 등록하기 위한 확장성 생성 언어(XML) 기반의 규격.

   - 이미 알려진 송 ∙ 수신 시스템의 통합 구현에서는 공개 및 검색 과정이 필요 없으므로 UDDI를 구축하지 않는다.

 

문제18

UI(User Interface)의 설계 원칙 중 직관성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시오.

 

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함

 

사용자 인터페이스(UI, User Interface)

 ▪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도와주는 장치나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.

 ▪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세가지 분야

   -  정보 제공과 전달을 위한 물리적 제어에 관한 분야

   -  콘텐츠의 상세적인 표현과 전체적인 구성에 관한 분야

   -  모든 사용자가 편리하고 간편하게 사용하도록 하는 기능에 관한 분야

 

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분

구분 내용
CLI
(Command Line Interface)
 ▪ 명령과 출력이 텍스트 형태로 이뤄지는 인터페이스
GUI
(Graphical User Interface)
 ▪ 아이콘이나 메뉴를 마우스로 선택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그래픽 환경의 인터페이스
NUI
(Natural User Interface)
 ▪ 사용자의 말이나 행동으로 기기를 조작하는 인터페이스

 

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기본 원칙

원칙 내용
직관성  ▪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어야 함
유효성  ▪ 사용자의 목적을 정확하고 완벽하게 달성해야 함
학습성  ▪ 누구나 쉽게 배우고 익힐 수 있어야 함
유연성  ▪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수용하고 실수를 최소화해야 함

 

 

문제19

C++에서 생성자(Constructor)에 대해 간략히 서술하시오.

 

∴ 객체의 생성과 동시에 멤버 변수를 초기화해주는 메소드이다.

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