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전체 글 (34)
Ga0's

●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릴레이션 구조 릴레이션(Relation) : 데이터들을 표(Table) 형태로 표현한 것, 릴레이션 스키마(=구조)와 릴레이션 인스턴스(=값)로 구성되어 있다. 카디널리티 : 튜플의 개수 ● 순수 관계 연산자 SELECT(σ) : 릴레이션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튜플들을 반환 PROJECT(π) : 릴레이션 R에서 주어진 속성들의 값만으로만 구성된 튜플들을 반환 JOIN(▷◁) : 공통 속성을 이용해 릴레이션 R과 다른 릴레이션 S의 튜플들을 연결하여 만들어진 새로운 튜플들을 반환 DIVISION(÷) : 릴레이션 S의 모든 튜플과 관련있는 릴레이션 R의 튜플들을 반환 ● JOIN의 종류 INNER JOIN(내부 조인) : 두 테이블을 조인할 때, 두 테이블에 모두 지정한 열의 데이..
● 연산자의 종류 구분 연산자 연산자의 의미 비교연산자 = 같다 > 보다 크다 >= 보다 크거나 같다 SQL Server에서는 CHAR()를 사용) CONCAT(문자열1, 문자열2) 문자열1과 문자열2를 연결. '문자열1' | | '문자열2'와 같음. SUBSTR(문자열, 시작위치[, 길이]) 문자열의 시작위치에서 길이만큼 반환하며, 길이를 생략하면 마지막 문자열까지 반환 시작위치를 음수로 입력하면 오른쪽 방향으로 계산하여 출력 (=>SQL Server에서는 SUBSTRING()을 사용) LENGTH(문자열) 문자열의 길이를 출력. 바이트를 반환하려면 LENGTHB()를 사용하며, SQL Server에서는 LEN()을 사용 LTRIM(문자열[, 지정문자]) 문자열의 왼쪽에서 연속되는 지정문자를 제거하며,..
◆ SQL에서 의미하는 NULL(널) 아직 정의되지 않은 미지의 값(=알 수 없는 값) 값의 부재 NULL과의 모든 비교(IS NULL 제외)는 알 수 없음(Unknown)을 반환 -> 공백(아스키 : 48)이나 숫자 0(아스키 : 32)은 아스키코드 값을 가진 값으로써 NULL(아스키 : 00)과는 다르다 ◆ 테이블 생성시 컬럼별 생성 가능한 제약조건에 대한 설명 테이블은 하나의 PRIMARY KEY 제약 조건만 가질 수 있음 -> 각 행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주요 키가 하나만 허용된다는 것을 의미 그러나 주요 키 자체는 하나의 열이 아닌 여러 열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. 이것을 복합(primary) 키라고 함. CREATE TABLE 복합키를_가지는_테이블 ( id1 NUMBER, id2 NUMBER, ..
◆ 데이터 모델링 단계 첫째, 데이터모델링을 할 때 정규화를 정확하게 수행한다. 둘째, 데이터베이스 용량산정을 수행한다. 셋째, 데이터베이스에 발생되는 트랜잭션의 유형을 파악한다. 넷째, 용량과 트랜잭션의 유형에 따라 반정규화를 수행한다. 다섯째, 이력모델의 조정, PK/FK조정, 슈퍼타입/서브타입 조정 등을 수행한다. 여섯째, 성능관점에서 데이터모델을 검증한다. (정규화 -> 용량산정 -> 트랜잭션 유형 -> 반정규화 -> 조정 -> 검증) ◆ 정규화 단계 제 1정규형 : 도메인의 원자성(=>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각 행의 도메인에서 각각 정확히 한 개의 값만 허용) 제 2정규형 : 부분 함수적 종속 제거(=> PK가 두개일 경우, PK 1개 값으로 종속되는 경우도 존재하고, PK 2개 값으로 종속되는..